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소개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6)
    • 연구회 소식 (9)
      • 연구회 동정 (6)
      • 회원 소식 (1)
    • 연구회 활동 (15)
      • 책 읽는 수요일 (10)
      • 주목할 행사 (5)
    • Member's Essay (2)
      • 👦 Brian2021 (0)
      • ⛺ 날마다시요일 (0)
      • 🍋 kotragon (0)
      • 🍃 발샘 (0)
      • 🌱 맑은마루 (2)
      • 🌺 물멍하니 (0)
      • 🐰토끼씨 (0)
      • 🌹 열정샘샘 (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소개

2021. 8. 27. 19:56

본문

 

생태전환교육을 넘어 생태적 관점으로서 교육정책을 연구합니다.


강원생태전환교육정책연구회는 근대 산업에 기반한 교육시스템으로 21세기에 도래하는 여러 문제 (생태, 환경, 기후위기 뿐만 아니라 정치·경제·사회적인 맥락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불평등 등) 속에 교육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생태적 전환’이라는 관점을 바탕으로 교육에 접목하여 현장에서의 실천, 강원교육 정책에의 적용방안들을 연구하는 모임입니다.

 

2022년 연구주제


생태적 전환 관점을 반영한 강원교육의 방향 모색

  우리가 사는 생태계의 위기를 어린이부터 실감하고, 이를 보전하기 위한 행동을 이어나가도록 이끄는 교육은 진작부터 이루어져 왔다. 20세기에는 환경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자원의 고갈, 자연의 파괴와 같은 단순한 현상을 보여주고, 이를 막아야 한다는 막연한 논리로만 다가간 것이 전부였다. 그러다 2010년대 들어 UN의 ‘지속 가능한 교육’을 주창하였는데, 미래 인류에게도 좋은 환경을 물려주고, 인류가 계속 번창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는 환경을 보전한다는 관점은 내재하여 있지만 인간 중심의 사고이다. 인간이 생태계의 주인 마냥 마음대로 휘두를 수 있지만 이를 조절해야 한다는 관점에 지나지 않는다. 지구에 있는 생태계의 모든 개체는 인간이 마음대로 할 수 있고, 다룰 수 있다고 믿는 사고 자체는 환경을 배제한 경제 중심의 사고와 다를 바 없다.

 

  한편, 최근에는 ‘생태환경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생태계 전체를 고려한 환경교육이 전개되는 곳이 많다. 그러나 이는 예전에 실시하던 환경교육에서, 최근의 교육 경향(프로젝트 학습 등)이 가미되어 환경을 보전하는 실천하는 활동이 추가되었을 뿐, 생태계 전체를 바라보는 근본적인 관점(철학적 관점)이 결여되어 있고, 단순히 환경교육의 관점으로 보기 때문에 매우 지엽적인 형태의 교육으로 전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생태환경교육을 넘어 ‘생태전환교육’이 대두되고 있다. ‘생태전환교육’은 생태주의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태학적 철학(지혜)을(지혜) 바탕으로 형성된 것이다. 인간 중심의 환경주의 담론에서 벗어나 “모든 형태의 생명은 본질적으로 가치가 있다.”는 관점으로 바라본다(Brent Davis, 2014). 인간이 환경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고, 지구 자원은 생명 유지에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본다. 즉, 생태전환교육은 인간을 중심으로 생각하는 사고에서 벗어나 생태계에 있는 모든 개체, 더 나아가 미래의 생태계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기후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행동들은 지금의 체제를 수리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스템에서,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청소년 기후행동, 2020).

 

  때문에 생태전환교육은 ‘전환교육’이라고도 부른다. 단순히 환경교육 차원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교육 전반에 걸쳐 ‘생태적 관점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중앙집중식의 현재 시스템에서 다양한 주변인들이 서로 관계를 맺고 성장해 가면서 발달해 가는 관점(윤상혁, 2021)으로 접근하고, 삶을 위한 교육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2022개정 교육과정 총론 시안에도 생태전환교육을 전 교과에 반영하겠다는 방침을 세우는 등 이러한 움직임은 실제로 진전되는 모양새다(교육부, 2021). 교육과정을 전개해 나가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교육정책을 형성하고 집행, 평가하는 모든 과정에서 반드시 반영되어야 하는 시대적 흐름으로 ‘생태전환교육’은 부상하고 있다.

 

  한편, 강원도는 자연 생태가 아직은 보존되어있는 반면, 남‧북 유일의 분단 도(道)로서 서로의 소통이 단절된, 생태 전환적인 관점에서 보면 매우 모순된 지역이다. 생태환경교육 뿐만 아니라, 각 사람, 개체 간의 관계를 맺으면서 화합과 소통을 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서로 ‘평화’를 이룰 수 있는 방향으로 ‘생태전환교육’의 가치를 내세우면, ‘강원평화특별자치도’ 추진에 발맞추어 평화교육이 내재한 강원도형 생태전환교육을 전개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연구회는 위와 같은 시대적 흐름, 2022개정교육과정의 반영, 강원도의 특색있는 교육환경에 맞추어 생태적 관점으로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상은 무엇인지, 이를 위해 펼쳐야할 강원도 교육 정책방향은 무엇인지 고민하고, 세부적인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발자취


2022

03. 01. 연구회 신규회원 가입(2명, 총 14명)

2021

10. 16. 연구회 세미나 개최(횡성 웰리힐리파크)

08. 27. 연구회의 성과물을 공유하고 홍보하기 위한 홈페이지 개설(gwedu.kr)

03. 01. 생태전환적 관점을 강원도 교육현장에 적용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강원생태전환교육정책연구회’ 결성

2020

10. 15. 2020 강원미래교육포럼 - 교육 불평등 참여

추가 정보

최신글

  1. -
    -
    생태적 전환, 슬기로운 지구 생활을 위하여

    연구회 활동/책 읽는 수요일

  2. -
    -
    6월 정기 화상모임 - 책 읽는 수요일

    연구회 소식/연구회 동정

  3. -
    -
    2022 연구회 1차 워크숍 개최

    연구회 소식/연구회 동정

  4. -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

    연구회 활동/책 읽는 수요일

인기글

  1. -
    -
    구성주의를 넘어선 복잡성 교육과 생태주의 교육의 계보학

    2021.08.27 23:08

  2. -
    -
    생태적 전환, 슬기로운 지구 생활을 위하여

    2023.01.27 19:54

  3. -
    -
    6월 정기 화상모임 - 책 읽는 수요일

    2022.06.22 21:16

03-25 02:45
강원생태전환교육정책연구회 Since 2021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